COMFORMATION

반응형

개인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편이지만, 일부 이곳에서 받는 앱이 편한 경우가 있어 사용할 때가 종종 있다. 그런데, 이게 다른 스마트폰의 스토어처럼 쉽게 열려버리면 문제가 없는데, 간혹 열려고 시도해도 에러가 뜬다거나, 또는 로딩이 끝없이 지속된다거나 하는 문제를 겪을 때가 있다. 이 경우들은 어떻게 해결하면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1.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캐시 초기화하기

사실 이게 가장 간단한 방법이라 가장 먼저 소개하게 되었다.

 

코타나 - wsreset

wsreset

윈도우 10에서 Windows 로고 키를 누르면 시작 메뉴가 열리게 된다. 그 상태에서 바로 wsreset를 입력해보자. 그럼 위와 같은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Windows Store Reset의 약자라고 생각하면 입력하기 편하다.) 중요한 점은 여기서 wsreset를 바로 실행하지 말고,

 

wsreset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이렇게 우클릭을 통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이다.

 

WSReset

그럼 위 이미지와 마찬가지로 비어있는 도스 창이 하나 열리게 되고,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잠시 뒤 스토어 캐시가 초기화되면서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가 열리게 된다. 만약, 이 과정을 거쳤는데도 스토어가 열리지 않는다면 차례대로 다음 과정을 따라가면 된다. 이런 문제는 한 가지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들이 종종 있기 때문이다.

 

2.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등록하기

윈도우 파워쉘

먼저, 파워쉘(Windows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보자. 만약, 파워쉘을 여는 방법, 또는 관리자 권한으로 여는 방법에 대해 모르겠다면 이전에 작성해둔 글의 링크를 남겼으므로 위 링크를 따라 관리자 권한의 파워쉘을 열어주면 되겠다. 정상적으로 열렸다면 위 이미지처럼 파란 창이 하나 보일 것이다.

 

$manifest = (Get-AppxPackage Microsoft.WindowsStore).InstallLocation + '\AppxManifest.xml' ; Add-AppxPackage -DisableDevelopmentMode -Register $manifest

마이크로소프트 등록 명령어.txt
0.00MB

그리고 위의 명령어를 입력해보자. 복사가 되지 않거나, 수동으로 타이핑하기 힘든 경우를 위해 텍스트 파일을 추가로 업로드하였으므로, 텍스트 파일 내의 명령어를 복사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열린 파워쉘 창에 붙여 넣어주면 된다.

 

명령어 실행 후

그리고 엔터를 입력해주면 파워쉘 창 위로 무언가 스슥 지나갈 텐데, 지나간 뒤 명령줄이 이미지처럼 다음 줄로 이동했다면 다시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를 실행해보자. 이번에도 안 된다면 다음 방법으로 넘어가 보자.

 

3. 윈도우 10의 파일 누락 또는 손상 문제를 해결해보기

사실상 위 두 가지 방법이 스토어의 문제 해결과 직결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방법들이었는데, 위 두 가지 방법을 통해 따라 했는데도 스토어를 열 때 에러가 뜨거나, 또는 무한 로딩이 걸려버린다면 윈도우 자체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윈도우 자체 문제의 경우는 자가 복구 기능이 이미 내부에 포함되어 있기에 이와 관련된 글은 예전에 따로 작성해뒀고, 위의 링크를 따라 명령어를 입력해보면서 윈도우 10 내부 파일 손상 문제를 해결해보면 된다. 위 링크의 방법까지 시도했다면 다시 한 번 스토어를 실행해보도록 하자. 그래도 여전히 열리지 않는다면 다음 방법으로 넘어가주면 된다.

 

4. 윈도우 업데이트 진행하기

3번으로도 되지 않았다면 다음으로는 윈도우를 업데이트 해보는 방법이 남아있다. 윈도우는 업데이트를 통해 구버전의 보안이나 호환 등의 문제를 해결하곤 하는데, 운 없게도 현재 컴퓨터가 이 상황에 속해있다면 마지막 방법인 윈도우 업데이트로 해결될 수도 있다. 여기까지 온 이상 후퇴는 없다고 생각하고 따라 해 보자.

 

여기서 윈도우 업데이트 또한 여러 문제들의 해결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미리 글을 작성해두었다. 따라서 윈도우 10이라면 위의 링크의 방법을 따라 업데이트를 진행해보면, 딱히 문제없이 진행될 것이라 생각된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