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FORMATION

반응형

윈도우는 정말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은 채, 켜 두기만 했는데도 내부에서 무언가의 문제로 인해 다른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문제들 중에는 종종 윈도우10의 작업표시줄의 검색 기능을 통해 무언가를 검색했을 때, 그 프로그램에 맞는 아이콘이 나타나지 않고 이상한 아이콘이거나 또는 깨져 보이는 경우 등을 볼 수 있을 때가 있는데, 이 문제의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윈도우 검색으로 볼 수 있는 섬네일 아이콘

아, 참고로 이 문제는 위 이미지와 같이 검색 기능을 통해 검색했을 때 위와 같이 강조한 부분의 아이콘이 이상하게 나오는 경우에 해당된다.

 

윈도우10, 11 검색 시 아이콘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때, 나오게 만들어 보기

이 방법은 개인적으로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뉜다고 생각한다. 첫 번째는 바로 윈도우 자체 업데이트를 통해 해결해보는 것이고, 두 번째는 섬네일 캐시 삭제를 통해 해결해보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첫 번째인 윈도우 업데이트를 통해 해결해본 경험이 있고, 윈도우는 언젠가는 업데이트를 해야 하기에 가능하다면 첫 번째 방법을 통해 해결하는 것을 권장한다.

 

1. 윈도우 업데이트로 해결하는 방법

윈도우10을 업데이트하고자 한다면 위 링크를 참고하도록 하자. 개인적으로는 윈도우11 또한 윈도우10과 매우 유사하다고 생각되기에, 윈도우11을 사용하고 있으면서 마찬가지로 해당 문제에 맞닥뜨리게 되었다면 같은 방법을 통해 업데이트부터 거쳐보는 것을 권장한다.

 

2. 섬네일 캐시를 지워서 해결하는 방법

다음은 윈도우 운영체제 상에 존재하는 섬네일 캐시를 지우는 것을 통해 해결하는 방법이다.

 

관리자: 명령 프롬프트

두 번째 방법의 시작에 앞서, 윈도우의 설정에는 이렇게 자잘한 에러까지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때문에 명령 프롬프트에 명령어를 입력하는 것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이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보자. 잘 모르겠다면 위의 링크를 통해 열어주면 된다.(링크의 글은 윈도우10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지만 11이더라도 따라가는 데 무리는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끌 수 있는 다른 프로그램들은 꺼주도록 하자. 혹시라도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첫 번째 명령어 입력

cd /d %userprofile%\AppData\Local\Microsoft\Windows\Explorer

 

섬네일 캐시 삭제 명령어.txt
0.00MB

그리고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를 쳐보자. 이 글에서는 총 세 줄의 명령어를 입력할 텐데, 위 파일 내부에 세 줄의 명령어를 전부 포함하였다. 따라서, 텍스트 파일 내부에 있는 명령어를 한 줄씩 복사해서 사용해주면 된다.

 

그럼 위와 같이 경로가 바뀌게 된다.

 

두 번째 명령어 입력

attrib –h thumbcache_*.db

그리고 위의 명령어를 이어서 붙여넣고 엔터를 쳐 보자. 앞서도 언급했지만, 이 글에서 사용할 명령어 세 줄은 전부 위의 텍스트 파일에 포함시켰으므로 받은 텍스트 파일의 두 번째 줄의 명령어를 마찬가지로 붙여 넣어주면 된다.

 

세 번째 명령어 입력

del thumbcache_*.db start explorer

그리고 이어서 다음 명령어를 붙여넣어보자.

 

명령어 입력 결과

그럼 위와 같이 몇몇은 액세스가 거부된 채로 진행이 되지 않을 수 있는데, 아무튼 여기까지 진행했다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한 뒤, 문제가 마찬가지로 있는지 확인해주면 된다.

 

사실 위 방법은 특정 경로(...\AppData\Local\Microsoft\Windows\Explorer) 내부의 thumbcache 관련 파일들을 제거하는 것을 명령어화한 것 뿐이라 직접 경로 내로 들어가서 지우더라도 마찬가지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