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FORMATION

반응형

안전모드는 다른 프로그램의 관여 없이 특정 작업을 수행해야 할 때 주로 이용된다. 단순한 예를 하나 들어보면, 특정 프로그램으로 인해 컴퓨터가 작동 도중에 멈춰버린다거나, 또는 특정 프로그램을 삭제해야 할 때 이미 켜져 있는 프로그램으로 인한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함 등의 이유가 있겠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단순히 안전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 한다.

 

참고로 이 방법대로 따라한다면, 안전 모드로 간 이후에 다시 재부팅하면 안전 모드가 아닌 상태로 정상 부팅이 되므로 안전 모드에서 따로 부팅을 위한 작업을 해줄 필요는 없기에 나름 편리한 편이다.


윈도우10 안전모드 진입(시작)하는법

진행에 앞서, 이 글은 컴퓨터를 재부팅시키는 글이므로 보면서 바로 따라 하지 말고 이 방법을 따로 종이에 적어둔다거나 하는 것이 좋다. 아니면 이 페이지를 따로 스마트폰 등의 다른 기기에 열어놓고 보면서 따라 해도 무방하긴 하다.

 

다시 시작

키보드에서 Windows + X 단축키를 눌러주면 위와 같은 메뉴가 하나 열리게 된다. 열린 메뉴에서 종료 또는 로그아웃 → 다시 시작에 마우스를 누르지 말고 올려놔보자. 여기서 그냥 눌러버리면 안전 모드와는 관계없이 컴퓨터가 그냥 재부팅된다.

 

Shift + 다시 시작

마우스를 올려놨다면, 키보드의 Shift 키를 누른 채로 다시 시작을 클릭하자. 그럼 재부팅 이후에 평소와는 약간은 다른 화면을 보게 된다.

 

문제 해결

재부팅을 하면, 이미지처럼 파란 화면에 옵션 선택 창이 열리게 되는데, 여기서 문제 해결을 선택하자.

 

고급 옵션

그리고 문제 해결 창에서는 이 PC 초기화가 아닌, 아래의 고급 옵션을 선택해주면 된다.

 

시작 설정

그럼 다시 여러 메뉴가 나타나는데, 이 화면에서는 시작 설정으로 진입해주고,

 

다시 시작

시작 설정에서는 다시 시작 버튼만 있기에, 다시 시작 버튼을 선택해주면 된다.

 

안전 모드 사용 / 안전 모드(네트워킹 사용) 사용

그럼 마침내 컴퓨터가 다시 시작되면서 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선택지를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선 인터넷이 필요 없는 경우라면 4번(안전 모드 사용)을, 인터넷은 써야 하는 환경이라면 5번(안전 모드(네트워킹 사용) 사용)을 선택해주면 된다. 일반적으로는 4번을 많이들 선택하겠지만, 인터넷이 필요한 경우가 있기에 유동적으로 골라주자.

 

안전 모드

그렇게 안전 모드로 정상 부팅이 되었다면 화면의 네 모서리에 안전 모드라는 문구가 함께 표시된다. 이 문구를 통해 안전 모드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시 시작

물론, 이 글에서 정리한 방법대로 안전 모드까지 진입했다면, 이후 재부팅 시에는 자동으로 안전 모드가 풀리게 되므로 서론의 언급대로 따로 풀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는 않아도 된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