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FORMATION

반응형

윈도우가 탑재된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의외로 작업 표시줄 또는 바탕화면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이런 경우들은 보통 작업 관리자를 통해 Windows 탐색기를 다시 시작하거나, 또는 컴퓨터를 재부팅하는 것을 통해 주로 해결되는데, 만약 작업 표시줄이 창 뒤에 가려지는 현상을 겪으면서 앞선 방법을 사용해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차선책으로 고를 만한 방법은 어떤 게 있을지 다뤄보고자 한다.

 

1. DISM, sfc 명령어 적용

가장 우선적으로 컴퓨터에 적용해볼 방법은 DISM, sfc 명령어를 이용하는 방법인데, 사실 이게 대부분의 윈도우 자체 에러에 통용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기에 상비약 정도의 위치라고 생각해봐도 무방하다.

 

이 방법은 이미 다른 글에 작성되었으므로, 위의 링크를 따라가서 처음부터 차근차근 컴퓨터에 따라 적용해주면 된다.

 

2. 최신 버전의 윈도우를 이용하고 있는지 확인

또한, 대부분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그렇듯, 버전을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이전 버전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해볼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작성된 윈도우 업데이트에 관한 글 링크를 통해 따라해보자. 개인적으로 이 방법이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지는 않지만, 1번 방법을 통해 해결되지 않았다면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이것저것 시도해보는 것이 좋다.

 

3. 파워쉘을 이용한 방법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된 PowerShell

두 번째 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았다면 파워쉘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보자. 여기서 파워쉘을 관리자 권한으로 어떻게 실행하는지 모를 분들을 위해 별개의 글로 작성해뒀고, 이런 여러 글들은 다른 방법들에도 사용되기에 부득이하게 하나의 글에 묶지 못한 점은 양해를 바란다.

 

$manifest = (Get-AppxPackage Microsoft.WindowsStore).InstallLocation + '\AppxManifest.xml' ; Add-AppxPackage -DisableDevelopmentMode -Register $manifest

파워쉘 명령어(Ctrl + A로 복사하세요).txt
0.00MB

그리고 위의 명령어를 입력해보자. 실질적으로 위 명령어를 따라 쓰기에는 오타가 발생할 확률이 제법 높다 생각되므로 따로 본문 내에 포함시켰다. 또한, 복사가 되지 않는 경우를 위해 텍스트 파일도 따로 업로드해뒀으므로 파일을 통해 복사한 후, 이미지처럼 파워쉘에 붙여 넣어주면 된다.

 

명령어 적용 후

명령어를 전부 입력하고 엔터를 쳐 보면 뭔가 창 위로 슈슉 지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과정까지 마친 뒤에 재부팅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해볼 수 있다. 물론, 재부팅하고 나서도 문제가 여전히 발생할 수 있기에 가능하다면 이 페이지를 즐겨찾기(단축키 Ctrl + D)에 추가해두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을 때 다음 방법을 따라가는 것을 권장한다.

 

4. NVIDIA Geforce Experience의 호환 문제 해결

2022년 12월 3일 추가내용 : 이 경우는 아래의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AMD CPU + 엔비디아 그래픽카드(NVIDIA GPU) 조합 시에 발생하는 문제라고 적었으나, 인텔(Intel) CPU와의 조합에서도 발생되는 문제로 파악된다. 따라서, 인텔 CPU를 사용하고 있더라도 위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따라해보는 것을 권장한다.

 

위 세 가지 방법을 전부 따라 했는데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면 다음 가능성을 짚어볼 수 있다. 만약, 현재 사용 중인 컴퓨터가 AMD CPU + NVIDIA GPU(그래픽 카드)인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인데, 우선 이 경우부터 해당되는지 확인해보도록 하자.

 

컴퓨터를 본인이 직접 조립했거나, 또는 현재 사용 중인 PC의 사양을 기본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경우라면 앞서 언급했던 AMD CPU + NVIDIA GPU인지는 확인하지 않아도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그렇지 않다면 아래의 링크를 따라 확인해주면 된다.

 

CPU의 경우 제조사가 AMD라면 모델명의 가장 앞에 AMD라는 이름이 붙게 되고, 그래픽카드 역시 NVIDIA 제품이라면 모델명의 가장 앞 단어가 NVIDIA로 시작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GeForce Experience

또한, 이 조합에서 발생하는 문제인 경우 GeForce Experience가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이기에 당연하게도 작업 표시줄을 통해 GeForce Experience를 실행해줘야 하며,

 

비활성화된 게임 내 오버레이

이어서 우측 상단부에 존재하는 설정 버튼을 눌러보도록 하자. 그리고 일반 탭을 보면 아래쪽에 게임 내 오버레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이걸 비활성화해주면 AMD CPU + NVIDIA GPU로 조합된 컴퓨터에서의 작업 표시줄이 뒤로 가려지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사실 인 게임 오버레이가 게이머들에게는 유용한 옵션일 수 있기에 껐을 때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작업 표시줄이 뒤로 가려지는 문제가 더 거슬린다면 인 게임 오버레이를 포기하고 다른 대안을 찾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